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역사
- 수와 측정
- 에드워드 기번
- 채권 서적
- 노동
- 대번영의 조건
- 채권 책
- 경제
- 모기매개질병
- 질서 너머
- 가치 투자
- 인간의 실수
- 회계
- 수학
- 도덕감정론
- 워렌 버핏
- 파보치
- fabozzi
- 인간의 흑역사
- 로마제국 쇠망사
- 국가
- 김권중
- 로스의 확률모형
- 확률모형
- 조던 피터슨
- kifrs
- probability model
- 웹 서버 언어
- 총 균 쇠
- 스캇 교수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수와 측정 (1)
지구아빠 블로그

지은이 권윤정출판사 플루토 ‘현대 수학이 왜 지금의 체계를 갖추었나?’라는 호기심에 접하게 되었다. 광오한 질문에 비해 수학 레벨이 낮은 편이므로 난이도 쉬운 책 위주로 물색하다 알게 된 저서다. 인류는 진화와 함께 환경 적응과 생존을 위해 수를 세기 시작했고, 양(quantity) 감각을발달시켰다. 인류가 수 세기와 측정을 왜 시작하였는지, 10진법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도량형 통일을 위한 노력, 현재의 미터법을 포함한 측정의 기준 등을 탄생 배경과 함께 이해하기 쉽게 풀어 설명하고 있다. 어려운 수학 이야기는 거의 없다. 역사의 흐름에 따른 수 세기와 단위의 탄생, 변화를 말해주므로 인문학적 요소가 더 중심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것이 ‘수학’ 능력 향상에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은..
양서
2025. 4. 11. 1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