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도덕감정론
- 노동
- fabozzi
- 회계
- 확률모형
- 김권중
- 로스의 확률모형
- 채권 서적
- 가치 투자
- 총 균 쇠
- 웹 서버 언어
- 경제
- 스캇 교수
- kifrs
- 채권 책
- 대번영의 조건
- 에드워드 기번
- 질서 너머
- 조던 피터슨
- 인간의 흑역사
- probability model
- 파보치
- 수학
- 로마제국 쇠망사
- 인간의 실수
- 국가
- 수와 측정
- 워렌 버핏
- 역사
- 모기매개질병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조조 (1)
지구아빠 블로그
세기의 베스트셀러 삼국지, 블로그를 시작하며 꼭 삼국지에 관한 글을 쓰고 싶었다. 초등학교 때 한 권짜리 책으로 접한 뒤로, 이문열 삼국지는 고등학교 때 이미 10번을 넘게 읽었다. KOEI 게임 삼국지와 병행하며 읽은 삼국지는 내 삶에 알게 모르게 깊은 영향을 준 듯 하다. 삼국지는 세기의 베스트셀러이기 때문에 굳이 소개할 필요도 없고, 줄거리를 요약해 적을 수도 없다고 생각한다. 이상현상이라 불릴 정도로 한 시대에 많은 영웅이 쏟아져 나와 각자의 뜻을 이루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그 결과로 세상을 바꾸는 과정을 보는 느낌은 독자마다 다를 것이라 생각한다. 현대 출판되는 소설 삼국지는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왔고, '삼국지연의'는 촉한 정통론에 입각하여 서술됐다. 한나라 왕실의 후예인 유비..
양서
2013. 6. 22. 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