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스캇 교수
- 모기매개질병
- 조던 피터슨
- 파보치
- 총 균 쇠
- 확률모형
- 질서 너머
- 수학
- 채권 서적
- 채권 책
- 가치 투자
- fabozzi
- 국가
- 회계
- 로스의 확률모형
- 김권중
- 에드워드 기번
- 웹 서버 언어
- 도덕감정론
- 워렌 버핏
- 역사
- 노동
- kifrs
- probability model
- 수와 측정
- 인간의 실수
- 대번영의 조건
- 로마제국 쇠망사
- 경제
- 인간의 흑역사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금리의 역사 (1)
지구아빠 블로그
저자 시드니 호머(Sydney Homer), 리처드 실라(Richard Sylla) 옮긴이 이은주 감수자 홍춘욱 출판사 리딩리더 화폐경제 하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금리'란 뗄레야 뗄 수 없는 것이지만 그 개념을 모두 알고 있는가 하면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중앙은행이 한 국가의 경제 상태를 조절할 때 기준금리라는 것을 쓰고, 이는 전반적인 시장 금리와 환율, 주가에 영향을 미친다. 국가나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때, 가계에서 집을 사기 위해 대출을 할 때 조달한 자금에 대해 금리를 부담한다. 어느 경제를 진단할 때 시장금리를 확인하고, 기업의 신용 상태를 볼 때 금리 스프레드를 확인한다. 이처럼 금리란 것이 우리 경제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과거 역사를 짚어보고자 이 책을 골랐다. 책은 매우 지루했다. ..
양서
2017. 7. 2. 16:43